지그재그
지그재그(ZIGZAG)는 국내 여성 패션 커머스 플랫폼이다. Ai 기반의 개인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에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으로 1030 충성 고객을 대거 확보하고 있다.
IT기업 카카오에서 지그재그를 인수하여 현재 카카오스타일이 관리중이다.
화면분석
1. 홈
헤더에는 순서대로 [카테고리 메뉴], [검색], [장바구니] 아이콘이 보여준다.
상단탭으로 투데이, 베스트, 브랜드 쇼핑몰, 뷰티, 라이프, 세일 페이지를 분류하였다.
행동형 광고배너를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할인 정보 및 상품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그 밑으로 또 다시 카테고리를 아이콘으로 보여주어 카테고리를 찾으려는 사용자에게 혼동을 줄여주고 있다. 하단 탭은 [홈], [스토어], [발견], [찜], [마이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2. 스토어
스토어 페이지에서는 [랭킹]. [즐겨찾기] 두 탭으로 나뉘어 보여지고 있다.
[랭킹]에서 쇼핑몰, 브랜드, 뷰티, 라이프 각각의 랭킹으로 보여주고 필터를 적용하여 더 세분화된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
[즐겨찾기]탭에서는 사용자가 즐겨찾기한 브랜드들을 모아 한 눈에 볼 수 있게 구성하였고 그 하단에는 사용자를 위한 추천 스토어와 즐겨찾기한 아이템을 모아보기할 수 있는 모듈을 배치하였다.
3. 발견
[발견]페이지에서는 스타일링, 스낵트렌드, 에픽, 매거진으로 구성하였다.
스타일링은 컨셉별로 스타일링 코디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취향별로 상품을 분류하여 보여주어 사용자가 구매를 하도록 유도한다. 스낵트렌드에서는 매주 트렌드를 제공하여 매주 새로운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에픽은 지그재그 사용자가 소셜미디어처럼 사진을 업로드하여 자신의 코디나 코디 팁 등을 보여주어 다른 사용자와 공유를 할 수 있다. 매거진 탭에서는 지그재그 상품들을 매거진화 하여 토픽별로 분류하여 추천을 해주고 있다.
4. 찜
찜 페이지에선 사용자가 찜한 상품들을 모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스토어 별'로 볼 수 있고 편집도 가능한 편리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 폴더 편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직접 취향별로 상품을 분류할 수 있게 하였다.
5. 마이페이지
마이페이지에서 사용자 정보 수정이 가능하고 주문/배송, 리뷰, 쿠폰, 포인트에 대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최근 본 상품, 판매지/앱 문의 등이 가능하다.
6. 상세페이지
상세페이지에선 상품의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상단 브랜드 네임 옆으로 즐겨찾기 아이콘을 두어서 바로 즐겨찾기 브랜드에 추가할 수 있다.
하단 탭으로 리뷰, 가격, 구매하기 버튼으로 구성하였다. 하단 탭바로 위로 '쿠폰받기' 모달을 띄어 사용자가 바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효율성을 높였다.
7. 장바구니
장바구니에서는 브랜드별로 모듈을 나누어 상품들을 보여주고 있다. 각 모듈별 담겨진 상품의 편집이 가능하고 '쿠폰받기' 버튼을 포인트 컬러를 강조하여 시인성을 높였다. 이 부분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지그재그 UX분석
지그재그는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상품 추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타 플랫폼과 차별화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여 패션분야에서 우위에 위치해 있다.
지그재그의 강점인 주 기능은 아래와 같다.
- 개인화 추천
사용자 행동 데이터 기반으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개인화 추천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으로 사용자가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원하는 상품을 빠르게 찾아 볼 수 있도록 했다.
- 검색
목적성 구매에 최적화된 상세한 검색 필터 기능. 스타일, 상품타입, 연령대, 색상, 가격, 키로 분류할 수 있는 필터로 더 세분화하여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상품을 원할하게 찾을 수 있는 점이 용이하다.
- 즐겨찾기
리텐션을 만드는 스토어 즐겨찾기 기능. 단순 스토어 즐겨찾기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즐겨찾기한 스토어 아이템을 모아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자가 즐겨찾기한 브랜드, 취향을 기반으로 하여 비슷한 스타일의 스토어를 추천하고 있다.
개선점
지그재그는 아쉬운 점보다 장점으로 가득한 어플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용하면서 한가지 아쉬운 점을 발견하였다.
[찜] 페이지의 찜한 아이템들 중에 품절이 되었거나 판매가 종료된 아이템들이 그대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판매 종료 또는 품절된 상품을 사용자가 직접 삭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판매 종료/품절된 상품들을 자동으로 지워지도록 기능을 추가한다. 구매가 가능한 상품들만 나열하여 사용성을 더 편이하게 한다.
'UIUX 레퍼런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주차 레퍼런스_세탁특공대 (0) | 2023.02.18 |
---|---|
6주차 레퍼런스_애플 뮤직 (0) | 2023.02.12 |
4주차 레퍼런스_화해 (0) | 2023.01.28 |
3주차 레퍼런스 분석_ 올리브영 (0) | 2023.01.19 |
2주차 레퍼런스_왓챠 (1) | 2023.01.13 |